본문 바로가기
animal world

비단구렁이[ Python ]

by 현노다 2020. 6. 7.

학명 : 

Pythonidae의 일부

크기 : 

0.5~10.1m

무게:

0.14~145kg

식성 :

새, 도마뱀, 쥐, 뱀, 개구리, 악어

천적 :

사람, 맹금류, 포유류

활동시간:

서식지 :

사막, 열대우림, 습지, 나무위

분포정보 :

뉴기니아,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의 북쪽

 

 

특징:

비단구렁이는 사막, 열대우림, 습지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고 있다. 초록나무비단구렁이(Green Tree Python, Morelia viridis)는 완전히 나무 위 생활을 하며 땅보다는 나뭇가지 위에 똬리를 틀고 있는 것을 좋아한다. 번식기부터 부화할 때까지 먹이를 먹고 물을 섭취하는 모든 활동은 나무 위에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비단구렁이가 야행성이지만 이동하거나 햇볕을 쬐기 위해 낮에도 움직인다. 자연에서 새, 도마뱀이나 소형 포유류를 먹는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새를 먹는 종류이기 때문에 머리 크기에 비해서 매우 긴 이빨을 가지고 있다. 이 긴 이빨을 가지고 깃털을 뚫고 들어가서 먹이를 단단히 잡을 수 있게 된다. 붙잡힌 먹이는 다른 비단구렁이들처럼 붙잡아서 조이는 방식으로 먹이를 다룬다. 사막, 열대우림, 습지, 나무 위 등에 서식한다.

독이 없고 먹이를 졸라서 질식시켜 죽인다.

 

비단구렁이 이야기:

피트기관 :

모사류와 왕뱀류, 비단구렁이류들은 특화된 자외선 감지기관인 피트(pit)기관을 가지고 있다. 살모사들의 피트는 머리의 양옆, 코와 눈 사이에 있다. 비단구렁이류와 왕뱀류들은 뺨 쪽에 있는 비늘에 있다. 이 피트기관은 0.002℃(또는 0.001)의 온도변화도 감지해 낼 수 있어서 아주 어두운 곳에서도 먹이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뱀의 재미있는 특징들 :

뱀아목의 동물들은 사지가 없고 먹이를 통째로 삼킨다. 입을 벌릴 수 있도록 턱이 분리될 수 있도록 특수화 되어 있고. 눈꺼풀이 없다. 눈은 투명비늘로 덮여 있으며 혀는 포크형태로 되어 있다. 귓구멍이 없으며 청력이 약해 다른 감각이 발달되어 있다. 다른 도마뱀류처럼 꼬리가 떨어지지 않는다. 보아류는 새끼를 낳지만 비단구렁이류는 알을 낳는다. 비단구렁이의 수컷의 측면 비늘 중 큰 비늘이 있는 반면 암컷은 큰 비늘이 없다. 먹잇감을 꽉 조인 상태로 질식시켜 잡아먹는데, 특히, 살아있는 먹이가 숨을 내뱉을 때 더욱 조인다. 그리고 또한, 심장에 압박을 주어 혈액순환을 막는다. 그러면, 결국 심장, 뇌, 장기들의 세포가 손상되고 먹이동물은 죽게된다.

알을 지켜요 :

비단구렁이는 알을 낳고 부화할때까지 알과 함께 지낸다. 알을 낳으면 암컷은 알을 감싸고 있으며, 품는 중에 체온을 높일 수 있다. 암컷은 근육을 리드미컬하게 움직여 근육을 수축시킴으로써 몸의 대사율을 높여 열을 만든다. 어떤 비단구렁이들은 알을 품다가 잠시 햇볕으로 가 태양으로부터 몸으로 열을 흡수해 돌아와 그 열기로 알을 다시 따뜻하게 한다.

초록나무비단구렁이(Green Tree Python, Morelia viridis)의 특징 : 보통 10~14일만에 먹이를 먹는데 다른 비단구렁이류들보다 더 자주 먹는다. 번식중인 암컷은 5개월 이상 먹이를 먹지 않는다. 수컷은 6개월 이상 먹이를 먹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뱀은 비교적 활동적이지 않기 때문에 비만이 되지 않도록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나의 생각 :

구렁이와 비단 굴렁이는 다른다. 구렁이는 뱀과 이며, 비단 구렁이는 비단뱀과이다.

'animal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나콘다[Anacondas]  (0) 2020.06.07
왕도마뱀[ Monitor Lizard ]  (0) 2020.06.07
코브라[ Cobra ]  (0) 2020.06.07
카멜레온[ Common Chameleon ]  (0) 2020.06.07
방울뱀[ Rattlesnake ]  (0) 2020.06.07

댓글